[바이너리 진단] 바이너리 코드패치 하는 방법. :: YPrefer's Develop&Security

코드패치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IDA를 통해서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IDA Option을 아래와 같이 설정해 준다.

중요한 부분이 Number of opcode bytes 인데 이것을 6byte로 해주면 OPCODE에 해당하는 HEX값을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옵션값을 설정해주면 아래처럼 HEX값을 확인 할수있는데,

오른쪽 버튼의 Syncronized With를 HEXVIEW와 연동해 주고, HexVIEW를 들어가면 자동으로 해당 HEX값의 위치를 찾아준다.

여기서 F2를 누르면 HEX값을 수정할 수 있고, 다시 F2는 누르면 수정한 값이 적용된다.

 

적용된 화면이다.

0F 85 (JNZ) 를 0F 84(JZ)로 코드패치 하여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적용된 값은 Ctrl + W를 눌러 다른이름으로 저장을 하면, 변경이 적용된 바이너리가 새로 저장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OP CODE를 HEX값을 알아내어 WINHEX나 010EDITOR와 같은 hexviewer를 통해 열어 직접 수정해주는 방법도 있다.

 

 

 

+ Recent posts